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

편식하는 원인과 골고루 먹일 수 있는 방법

by dovly1125 2025. 2. 14.

편식하는 미취학 아동의 원인과 건강하게 골고루 먹일 수 있는 방법

어린아이들이 특정 음식을 거부하고 편식을 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하지만 편식이 심해지면 성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부모님들의 고민이 커집니다. 아이가 다양한 음식을 거부하는 이유를 이해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미취학 아동의 편식 원인

아이들이 편식을 하는 이유는 단순히 입맛 때문만이 아니라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① 미각과 감각이 예민함

미취학 아동은 성인보다 미각이 훨씬 예민합니다. 특히 쓴맛이나 신맛에 민감한 경우가 많아 채소류(브로콜리, 시금치 등)나 특정 과일(자몽, 레몬 등)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② 특정한 식감에 대한 거부감

어떤 아이들은 특정한 식감(미끌거리거나 질긴 식감, 너무 부드러운 음식 등)을 싫어합니다. 예를 들어, 버섯이나 가지처럼 부드럽고 촉촉한 식감을 싫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③ 음식에 대한 나쁜 기억

과거에 억지로 먹거나 잘못된 조리법으로 인해 맛이 없었던 경험이 있다면, 그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한 향신료가 들어간 음식이나 지나치게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이 나쁜 기억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④ 자기 주도성 발달

미취학 아동은 자율성이 강해지는 시기입니다. 이때 아이는 스스로 선택하는 경험을 하며 독립성을 키우려고 합니다. 따라서 부모가 특정 음식을 강요하면 반발심으로 인해 오히려 거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⑤ 부모나 주변 환경의 영향

부모나 형제가 편식하는 모습을 보이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따라 하게 됩니다. 또한 TV나 유튜브에서 특정 음식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을 자주 접하면 그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커질 수도 있습니다.

2. 아이가 건강하게 골고루 먹을 수 있도록 돕는 방법

① 강요보다는 자연스럽게 노출시키기

아이들에게 음식을 억지로 먹이려고 하면 오히려 거부감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대신 다양한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음식을 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과 편식하는 음식을 함께 조리해주기 (예: 당근을 잘게 다져 계란찜에 넣기)
  • 식탁에 계속 올려두어 자연스럽게 익숙해지도록 하기
  • 여러 번 반복적으로 노출시키면 아이가 호기심을 가질 가능성이 높아짐

② 다양한 조리법 활용하기

같은 음식이라도 조리법에 따라 맛과 식감이 달라지므로, 아이가 거부하는 음식도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찌거나 삶는 대신 구워서 바삭한 식감을 주기
  • 퓨레, 스무디, 수프 형태로 만들어 보기
  • 아이가 좋아하는 요리(파스타, 볶음밥, 전 등)에 편식하는 재료를 조금씩 넣어보기

③ 놀이를 활용한 긍정적인 경험 만들기

아이가 음식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놀이처럼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아이와 함께 요리하기 (재료를 씻거나 간단한 재료 섞기 등을 도와주게 하면 음식에 대한 애착이 생김)
  • 음식으로 그림을 그리듯 재미있게 플레이팅하기 (예: 오이로 눈을 만들고, 당근으로 입을 만들어 얼굴 모양 만들기)
  • 색깔 맞추기 게임을 하듯 다양한 색상의 음식을 접하게 하기

④ 아이가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아이가 스스로 선택할 기회를 주면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오늘은 브로콜리랑 당근 중에 어떤 걸 먹을래?"처럼 선택권을 주기
  • 식사 전에 아이와 함께 마트에서 채소나 과일을 고르게 하기
  • 아이가 직접 음식을 접시에 담아보도록 하기

⑤ 보상보다는 칭찬과 긍정적인 피드백

음식을 먹으면 장난감이나 간식을 주는 보상 방법보다는, 음식 자체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 "이거 먹으니까 우리 아기 건강해지는 것 같아!"
  • "와, 이걸 먹을 수 있다니 정말 멋져!"
  • "네가 스스로 골라서 먹으니까 너무 기뻐!"

보상을 습관적으로 사용하면 아이가 음식을 먹는 이유가 건강이 아닌 보상 때문이 될 수 있습니다.

⑥ 아이의 식욕을 고려한 식사 습관 만들기

편식은 때때로 식욕 문제에서 비롯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식사 습관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식사 전 간식을 줄이고, 공복감을 충분히 느낀 후 식사하도록 유도하기
  • 밥을 억지로 많이 먹이기보다는 적당량을 제공하고, 원할 때 더 먹도록 하기
  • 가족과 함께 즐겁게 식사하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기

⑦ 부모가 먼저 모범을 보이기

아이는 부모의 행동을 따라 하기 때문에 부모가 건강한 식습관을 먼저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편식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도록 하기
  • "이거 정말 맛있다!"라고 표현하며 아이가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하기
  • 가족이 함께 다양한 음식을 즐기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3. 편식 교정에 대한 부모의 태도

편식을 고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태도입니다.

너무 조급해하지 않기
아이의 식습관은 단기간에 바뀌지 않으므로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야 합니다.

아이를 존중하는 태도 유지하기
억지로 먹이거나 강제로 먹게 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으므로,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접근해야 합니다.

즐거운 분위기 만들기
식사는 스트레스받는 시간이 아니라 즐거운 시간이 되어야 합니다.

일관성 유지하기
편식을 교정할 때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느 날은 강요하고, 어느 날은 포기하는 식의 태도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4. 결론

미취학 아동의 편식은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이를 방치하면 영양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강요보다는 자연스럽게 음식에 노출시키고, 다양한 조리법과 놀이를 활용해 아이가 긍정적인 경험을 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부모가 먼저 건강한 식습관을 보여주며 아이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무엇보다도 아이의 식습관이 바뀌는 데에는 시간이 걸리므로, 조급해하지 않고 긍정적인 태도로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